본문영역

세화견문록 – 전통과 현대를 잇는 미술가 16인의 시각
기타 마감

2005-12-29 ~ 2006-02-12




전시일시: 2005년 12월29일~2006년 2월12일
전시장소: 예술의 전당 한가람 미술관 3,4 전시실
주       최: 예술의 전당

전통과 현대를 잇는 미술가 16인의 시각을 조명하는 한국현대미술「세화견문록(歲畵見聞綠)」이 2005년 12월 29일부터 2006년 2월 12일까지 한가람미술관 2층에서 개최한다. 세화는 민화의 일종으로 정초에 주고받는 그림을 뜻하는 것으로 새해의 복을 기원하고 잡귀를 쫓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번 전시는 현대미술가 16명이 참여해 이 세화로부터 영감을 받아 제작한 회화, 설치, 영상, 디자인, 사진, 판화 70여 점이 출품되어 우리 전통의 멋과 어우러진 현대미술을 한눈에 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건축가 서혜림이 전시디자인에 참여해 공간을 작품의 제작의도가 살아나는 공간으로 탈바꿈시킴으로써 관람객에게 색다른 경험을 안겨줄 것으로 보인다.




설날 아침 큰 절을 <세배(歲拜)>라 부르듯이 세시풍속으로 정초에 주고받는 그림이 <세화(歲畵)>다. 세화는 본래 새해를 축하하기 위해 궁궐의 화원(畵員)들이 그려 궐내에서 사용하고, 신하들에게 나누어 주던 그림이다.
출입문에 그림이나 문자로 그려 붙인 용호한쌍의 용호문배도(龍虎門排圖)가 대표적이며, 사악한 악귀를 쫓아준다는 호랑이와 기쁜 소식의 전령인 까치가 사이좋게 등장하는 호작도(虎鵲圖)나 집안의 풍요와 번창을 가져다준다는 연화도(蓮花圖), 불로장생을 의미하는 세화 십장생도(十長生圖) 등의 길상도가 그것이다. 세화는 민화의 한 갈래로서 새해의 복을 기원하고 잡귀를 쫓는 내용을 담고 있다.

여기에 세화의 표현적 특성과 사회적 기능은 제도화되거나 기성화된 미술의 틀을 재고하고 대중과 상호교감을 할 수 있는 새로운 미술의 가능성으로 제시할 충분한 가치가 있다.
그중에도 민화가 그러하듯 창작자나 그것을 감상하는 수요자 모두 사회적 계층이나 경계를 초월해 제작하고 공유하는 점은 바로 오늘의 공공 문화공간이 추구하는 바와 같다. 도화서의 화원에서부터 화승이나 지방을 떠도는 방랑화공에 이르기까지 제작자의 이름을 새겨넣지 않는 무명성(無銘性)이나 궁중, 관가에서부터 신당이나 일반 서민의 부엌과 대문, 생활소품에까지 모든 사람의 삶과 생활의 기저에서 애호된 점이 바로 그러하다.
표현상에서는 소박, 순진무구함, 원초적 생명성, 나아가서는 주술적 상징성은 물론 지역공동체의 무한한 문화적 함의까지 포괄하여 우리 미술의 풍부한 문화적 원천을 이룬다.
이 전시는 이러한 세화를 전통 미술의 알레고리(우의)로 사용, 현대 미술가들이 우리의 옛 그림, 더 나아가 전통문화에서 영감을 받아 오늘의 미술로 창작한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한마디로「세화견문록」은 현대 미술가들이 우리 미술의 본모습을 찾아 독특한 상상력으로 재해석한 작품들을 만날 수 있는 자리다.




본 전시의 기획을 맡은 송인상 학예사는 전통적 풍속과 생활 속에 생동하는 ‘민화’의  문화적 가치에 주목했다. 특히 연말연시라는 시의에 맞추어 ‘세화’라는 주제로 압축했다.
하지만 그는 ‘세화’의 의미와 기능의 일부를 수용하면서도, 오늘의 살아있는 미술에 더 많은 관심을 두었다. 따라서 참여작가들도 다양한 장르와 매체를 통해 활약상이 돋보이는 20대에서 50대까지 16인의 작가들이 초대되었다. 이들은 세화의 정신과 사회적 기능의 의미를 새롭게 연출하는 이른바 ‘신 세화(新 歲畵)’를 보여준다.
「세화견문록」은 우리의 민화를 비롯한 전통적 미감을 바탕으로 작품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 그 정신을 창작 에너지로 활용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는 16명의 작품 70여 점으로 구성된다. 회화, 설치, 영상, 디자인, 사진, 판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 걸쳐 우리 전통의 멋과 어우러진 현대미술을 한눈에 볼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출품작품의 면면을 따져보면 전통에 대한 다양한 변주를 보여주고 있는데, 내용과 형식을 기준으로 볼 때 대체로 전통의 정신을 순수하게 이어가는 작품과 전통을 일정 부분 차용하되 오늘의 시각에서 이를 재해석한 작품, 그리고 전통에서 영양분을 흡수하되 전통과 현대의 간극을 뛰어넘는 작품 경향으로 나누어진다.
이런 작품들이 하모니를 이룬 전시에서 기대하는 것은 현대 미술에서 전통미술의 환기 이외에도 민속에서 유래한 세화나 민화의 본래 의미를 현대미술의 맥락에서 드러내 보이는 데 있다.

facebook twit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