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전체보기

분야별
유형별
매체별
매체전체
무신사
월간사진
월간 POPSIGN
bob

디지털영상 | 리뷰

번외편- 히로시마 페스티벌 역대 수상작 모음

2002-07-03

지난 6월에 프랑스에서 열린 앙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서 이성강 감독의 장편 “마리 이야기”가 당당히 본선 경쟁작 중 대상을 수상했다.
이 작품은 다시 극장에서 재상영하기로 결정하였다고 하니 무척 반가운 마음이 들며, 아울러 마리이야기를 보실 여러분께 우선 이성강 감독의 다른 단편들을 먼저 볼 것을 부탁드리고 싶다.
미리 감독의 단편을 감상한다면, 그 감독의 연출 의도와 작품 스타일을 구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단편들을 보면서 감독의 성향과 추구하는 방향과 의도들을 찾아낸다면 좀더 재미있게 작품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아쉽게도 필자는 학기중이라 프랑스의 앙시 페스티벌을 참가하지는 못했지만, 작년 여름 국내 페스티벌에 직접 참석하여 바쁜 일정을 보낸 적 있었다. 그 대회 폐막식때 상영작 프로그램 디렉터로 담당한 교수와 대화 중 이런 말이 떠오른다.


“나를 힘들게 하던 것은 피곤함이 아니라 페스티벌의 꽃이라고 본선 경쟁작품 상영을 관객들이 너무나 관심 없어하고, 관련학과 학생조차도 찾아보지 않고 있다는 것이다. 관객들은 외국의 유명한 장편애니메이션 작품만 보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이 말속에서 우리는 국내 애니메이션 관객 또는 영상물을 대하는 관객의 태도와 영상 문화를 다시 한 번 되집어 보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유명한 장편 애니메이션이나 재미위주의 대사가 들어간 애니메이션이 시청각적으로 즐겁울뿐 아니라, 또한 관객은 여가시간을 활용하여 즐기려고 보는 것이지 머리 아퍼하며 생각하게 만드는 애니메이션을 보기는 싫을 것이다.
하지만 우리가 좀더 관심을 갖고 작품에 대하여 본다면, 애니메이션의 다양한 국제적 흐름과 앞으로의 미래를 바라볼 수 있는 그러한 안목을 쌓을 수 있는 기쁨 또한 크다고 생각한다.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에 나온 경쟁 작품은 작가들의 고뇌가 담긴 작품으로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은 작가들의 경연장이자 세계 애니메이션의 흐름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중요한 프로그램이다. 각 페스티벌에 참여하여 상영관에 비치된 팜플렛을 통해 작가의 국적과 작품 연보 등 꼼꼼히 따져가며 상영되는 경쟁 작품들을 감상하면 애니메이션의 진수를 맛 볼 수 있을 것이다.


+++++++++++++++++++++++++++++++++++++++++++++++++++++++++++++++++++++++++++++++++++++++++++++++++++

세계의 수많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중 가장 권위적인 대회로는 크게 네 개 대회를 꼽는다.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 일본의 히로시마, 프랑스의 앙시, 캐나다의 오타와 이것들은 모두 국제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페스티벌로, 애니메이션 감독들의 작품 주기가 2년에 한번씩인 이유는 바로 이 대회들이 격년제로 개최되기 때문이다.(주1)
이 대회 중 2개 대회는 상업적 성향을 띤 페스티벌로 캐나다의 오타와, 프랑스의 앙시를 들 수 있고, 작가주의 위주의 페스티벌은 크로아티아의 자그레브와 일본의 히로시마를 꼽을 수 있다.

히로시마 애니페스티벌의 시작

오는 8월에 열리는 히로시마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은 그 대회 성격에 맞게 다양한 기법의 작품이 상영되고, 수상 작품 또한 상업적인 장편애니메이션 보다는 작가위주의 작품이 대부분 대상을 수상하게 된다.
이러한 대회의 성격은 대회 주창자인 ‘렌조 키노시다’라는 일본 단편애니메이션 작가의 작품세계에서 기인한다. 그는 단편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제작하였으며, 작품을 통해 모순뿐인 일본의 현대사회를 신랄하게 비판하는 사회 비판적인 작가정신으로 무장되어있다. 그는 부인 사요코와 함께 로투스(LOTUS)를 창설하고 사회성 짙은 작품을 제작했는데, 1972년 ‘일제’(그림1) 이 작품은 뉴욕 국제 애니메이션대회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하면서, 그는 ASFA 이사로 선임되었다.
그후 1978년 ‘피카돈(Pica-Don)’, 1993년 ‘최후의 공습 구마가야(The Last Air Raid Kumagaya)’를 마지막으로 1997년 암으로 세상을 떠났다.(주2) 그 후 그 부인인 ‘사요코 키노시다‘가 지금 페스티벌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으며, 이러한 설립 취지를 배경으로 갖고 있어, 이 대회는 작가주의 애니메이션 페스티벌을 고집하고 있다.

역대 히로시마 페스티벌의 수상 작품 중 다양한 기법을 소재로 하여 제작된 것을 중심 수상작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제 2회와 5회 대회의 대상 수상작으로는 프레드릭 백(Fre'de'ric Bak)의 ‘나무를 심은 사람’(The Man who Planted the Tree, 1987), ‘위대한 강’(the Mighty River, 1994) 등이 있는데 이 작품은 차후 프레드릭 백의 작품에 관하여 연재할 때 좀 더 자세히 다루기로 하겠다.

첫회 수상작, '상처입은 필름'- 데츠카 오사무 감독

히로시마 대회의 수상작품 중 첫 대회 대상을 수상한 작품은 일본 만화계의 신으로까지 불려지는 데츠카 오사무 감독에 ‘상처 입은 필름’(Broken down Film, 1985)이다.
악한에게 쫓기는 여자를 구출하기위해, 총잡이가 당나귀 같은 말을 타고 달린다. 그리던 중 필름에 난 상처에 의해 비오는 듯 하고 필름이 먼지에 의해 제 속도로 돌아가지 않아 화면의 플레임이 이층으로 되기도 한다. 그러나 주인공은 두 개로 나눠진 이층화면 아래에서 위로 뛰어 올라 계속 달리며 여자의 구출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내용이다.

데츠카 오사무는 오사카 도요나카시에서 출생하였다. 아버지가 영화 매니아였던 영향으로 그는 디즈니의 첫 장편 애니메이션 ‘백설공주’를 보면 꿈을 키워왔다. 1964년 오사카 대학 의학부 재학중 소국민 신문에 4컷 만화 ‘마창의 일기장’가 당선되어 만화가로 활동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1962년 ‘무시 프로덕션’을 차렸고, 그 다음해 TV시리즈 철완 아톰을 제작했다. 이 당시 그는 아톰을 제작하면서 제작비 절감을 위해 리미티드 제작방식(주3)과 뱅크 시스템(주4)을 도입하여 제작비를 절감했다. 이 제작방식은 이후 일본 애니메이션 제작 업계에서 덤핑으로 취급받으며, 많은 후배 애니메이터에게 욕을 얻어먹을 정도로 제작비를 낮추어 제작하여, TV시리즈 저가 경쟁의 성격을 띄었다. 하지만 그는 말년 단편 애니메이션을 제작하면서 진정한 애니메이션이란 이런 것이구나 라고 생각하게 되고, 자신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돌아보면서 ‘나는 이제까지 잘못된 작품을 만들어왔다.’라고 회고 할 정도였다 한다.
‘상처 입은 필름’은 데스카 오사무는 말년에 와서 단편 애니메이션이 갖고 있는 의미를 뒤늦게 깨닫고 단편 애니메이션 제작에 몰두하게 되었던 작품중 하나이기도 하다.


주1) 세계의 4대 애니메이션을 규정하는 것은 ASlFA(Association Internationale Film d' Amination) 란 국제 애니메이션 단체에서 후원하고 공인하는 대회이다.
주2) “애니메이션 영화사” 황성길 저, 범우사, 1998, p140 - 141 참고.
주3) 리미티드방식 : 애니메이션 제작방식 중 하나로 필름이 초당 24플레임을 갖고 있다면, 리미티드방식은 초당 12 - 10 프레임 만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주4) 뱅크시스탬 : 뱅크시스탬이란 사용되었던 원화와 동화을 버리지 않고 모아두었다가 같은 장면이 나올 경우 재사용하는 방식이다. 일례로 아톰이 하늘을 날아오를 경우 다른 로봇이 함께 날라오르기 보단 아톰만 날아오르는 장면을 연출하여 다시 사용하는 것이다.
주5) 페인팅 온 글라스: 투명한 유리판위에 수채 물감과 바셀린을 섞어 유리판에 조금씩 바르고, 천이나 거친 타올 같은 것으로 닦아 내거나 한다. 작품은 전반적으로 유화와 같은 질감을 갖으면서 표현하기 때문에 매우 사실적인 표현과 회화적인 표현을 할 수 있다.



러시아 애니메이션의 대가, 알렉산드르 페트로브- 암소(Cow)

1990년 3회 대회에 대상을 수상한 작품으로 러시아 애니메이션 작품인 알렉산드르 페트로브(Alexandre Petrov)의 암소 (Cow 1989)의 경우 페인팅 온 글라스(Painting on Gress)기법(주5)을 사용하여 유리판위에 채색하듯이 제작된 작품이다.

작품 하나 하나에 꼼꼼히 그려나가는 작가의 성실함과 더불어 화면 속의 리얼한 장면 묘사와 인물과 동물 표정은 영화가 감히 잡지 못하는 앵글을 만들어내고 있다.

이 작품은 전체화면에 매우 섬세하고 부드러운 동작을 세밀한 붓 터치로 이어가고 있으며, 애니메이션에 사용된 각 각의 동화는 회화에서 표현하는 것인 양, 거의 한장의 완벽한 그림으로 묘사되고 있다.
작품의 전반적인 내용은 러시아의 전원풍경을 담은 것으로, 러시아 시골의 어느 한 소년과 어미 소와의 이야기이다. 시골의 한 외양간에 갓 태어난 아기 송아지와 암소는 아이에 신기한 눈으로 비춰진다. 어느 날 가정의 형편상 소년의 부모는 아기 소를 팔려고 끌고 나간다. 없어진 아기 소를 찾아 흥분한 암소는 우리를 뛰쳐나와 거칠게 들판을 가로지른다. 흥분한 암소는 기차 선로에 서 있고, 달려오는 기차는 밭을 가는 쟁기로 변형되어 암소와 아이의 흥분을 더욱 고조시키고 있다. 이 작품에서 아이와 암소의 변화된 심리적 묘사를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있으며 그러한 심리 상태를 변형기법을 이용한 리얼한 화면 묘사로 작품 전반에 표현되고 있다.
알렉산드르 페트로브 감독은 계속해서 페인팅 온 글레스 기법만을 고집하여 제작하는데, 카우 이후 제작된 ‘어느 이상한 남자의 꿈’(Dream of a Ridiculous Man, 1992)도 같은 기법으로 제작되었다.
생애에 가장 중요한 답을 발견하지 못한 주인공은 꿈속에서 그의 생에 대한 관점이 다르게 보여진다는 작품으로 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연기의 표정 묘사는 더욱더 완숙함을 느끼게 해준다.

b>인형 애니메이션 '샌드맨'

제 4회 때 대상을 수상한 영국의 폴 베리(Paul Berry) 감독의 ‘샌드맨’(The Sandman, 1992)은 인형 애니메이션으로 만들어 졌다. 특히 이 작품은 독자들이 보았을 경험이 있을 수 도 있다. ‘팀 버튼의 크리스마스 악몽’이란 장편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 보았던 인형들이 바로 폴 베리 감독의 ‘샌드맨’에서 시작되었다.
이 작품은 매우 독특한 캐릭터들의 인상들을 볼 수 있는데, 특히 캐릭터의 눈동자를 보면 커다란 눈에 작은 점으로 이뤄져있어 극도의 긴장감을 유발한다. 또한 캐릭터의 행동은 특유의 절제된 몸동작을 반복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작품 전반에 흐르는 특유의 긴장감을 조절한다. 또한 작품의 색감은 전체가 블루톤으로 시작해서 마지막 장면은 붉은톤으로 끝나고 마지막 장면은 눈을 잃은 아이가 나와 길을 찾으며, 집단으로 모인 눈 잃은 아이들을 통해 극적 긴장을 엔딩장면까지 몰아가고 있다.
이 작품에서 가장 압도적인 장면은 샌드맨이 잠이 들지 않은 아이의 침대 위를 공중 회전하는 장면으로 인형을 이용하여 살아서 공중 회전하는 듯 한 장면은 이 작품의 백미라 할 수 있다.


애니메이션 기법중 인형이나 클레이의 경우 제작할 때 특히 중요한 점이 걷기나 뛰기를 할 때마다 캐릭터의 발의 동작에 따른 몸의 균형을 잡아 제대로 된 걷기를 표현 할 수 있게 만들어야 한다. 만약 한쪽 발이 지면에 닿아 있을 경우 좀처럼 인형의 균형을 잡기가 쉽지 않고 걷기가 자연스럽게 되지 않는다. 하물며 공중 제비를 할 경우는 x, y, z축 모든 면을 와이어을 사용하여 고정시킨 후 조금씩 공중에 띄워서 촬영을 하는 고난이도의 작업인데 이 작품은 그 공중제비 장면을 아주 극적으로 활용하면서 테크닉적 완벽함을 보여주고 있다.
작품 내용은 영국에서 내려오는 전래동화을 소재로 하여 만들어진 것으로, 어린아이는 일찍 잠을 자지 않으면 모래 귀신이 나타나 잠자지 않는 아이의 눈에 모래를 뿌리고 눈알을 뽑아가는 공포적인 전래동화이다.


페이퍼 애니메이션 '레페테'

다음으로는 페이퍼 애니메이션 기법(주6)으로 제작된 제 6회 대회 대상 수상작인 체코출신 미하엘라 파브라토바(Michaela Pavlatova)감독의 ‘레페테’(Repete 1995). 우선 이 작품의 기법은 작품이다.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 기법 중 가장 기본적인 기법을 사용하고 있고, 화면 전체를 변화 주기 위해 배경보다는 인물 위주의 드로잉선이 강조된 애니메이션이다. 거친선으로 스케치하듯 묘사되었고 붉은색과 청색, 녹색이 독립적인 각 각의 단락을 이루고 있으며, 흑백의 검은색은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주인공의 역할에 사용되고 있다.
이 작품은 애니메이션의 테크닉을 강조한 작품 또는 미술설정(art work)을 강조한 작품이라기 보다는 작품의 이야기 구조가 교묘하게 맞물려 있는 작품이다.


이야기 구조는 색감 별로 청, 녹, 적색의 사랑에 대한 단순한 이야기 구조와 흑색의 이야기를 이끌어가는 이야기 구조로 이뤄져있다. 특히 이 작품은 단편이라는 형식적 특성을 아주 적절히 이용하고 있는데, 개별적인 단선 구조의 이야기는 흑색의 이끌어가는 이야기구조에 의해 서로 조합되고 새로운 이야기로 변형되어, 세 가지의 개별 이야기가 여섯가지의 이야기로 조합, 변형되고 작품 엔딩에 다시 한번 이야기의 반전을 주어 다시 조합하는, 다분이 계산적인 이야기 형식을 갖추고 있다.

체코의 애니메이션의 경우 기법적 완성도는 오브제나 인형 애니메이션이 매우 발전한 형태인데, 미하엘라 바프라토바의 경우 매우 이례적으로 페이퍼 기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형식적인 면에서 완성도보다는 이야기 구조를 강조 한 점에서 매우 특징적인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대부분의 애니메이션들과 영화형식에서는 가장 큰 특징을 세 가지로 이야기한다. 작품 전반에 흐르는 예술적인 면, 실험적이고도 완성도 높은 기법적 테크닉, 이야기의 구조에 의한 극적 반전의 형식의 이야기로, 구별할 수 있다. 위에서 언급한 여러가지 애니메이션 작품들은 위의 세 가지 특징 중 하나 정도는 그 작품에서 특별히 강조된 작품들이다. 또한 작가의 의도가 작품에 잘 반영되어 예술적인 완성도 측면에서 각 각의 특징을 가장 잘 살린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가 애니메이션 페스티벌 작품을 감상할 경우 신기한 시각적 경험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위의 세 가지 형식적인 면을 차근히 따져보고 어떤 작품이 어느 경우에 해당되는지 구별해 본다면 전문가적 시각을 갖출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작가의 기존 작품을 보면서 지금의 작품을 감상한다면, 작가가 추구하고자 하는 사상적인 점, 작가의 스타일, 숨겨있는 의미를 구별할 수 있을 것이다.



(주6) 페이퍼 애니메이션: 페이퍼 애니메이션은 각각의 종이 한 장에 배경과 캐릭터를 함께 그리는 것이다. 기법의 특징은 매장마다 움직이지 않는 부분까지도 그려함으로 동일하게 겹치는 부분은 매우 떨린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을 벗어나기 위해 페이퍼 애니메이션의 경우 카메라의 액션은 매우 역동적으로 사용하고있다.



facebook twitter

당신을 위한 정글매거진